Pricing
Sign Up
Video preload image for 코로나 접근 (시체)
jkl keys enabled
Keyboard Shortcuts:
J - Slow down playback
K - Pause
L - Accelerate playback
  • 타이틀
  • 1. 소개
  • 2. 외과 적 접근
  • 3. 절개
  • 4. 플랩을 올리는 무딘 해부
  • 5. 두개주위 절개
  • 6. 두개주위 둔기 박리
  • 7. 측두근막 절개의 표재성 층
  • 8. 표재성 측두근막에 깊은 둔한 해부
  • 9. 오른쪽 절개 및 해부
  • 10. 접합체 아치 해부
  • 11. 연골과 뼈 코 지지대의 접합부에 대한 해부
  • 12. 오른쪽 안와 박리
  • 13. 폐쇄에 대한 논의

코로나 접근 (시체)

14441 views

Main Text

전두동 골절, 안와 골절 또는 접합 골절과 같은 안면 외상의 치료에는 관상 또는 양측두엽 접근법이 사용됩니다. 이 접근법은 표재성 측두동맥 생검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접근법은 전방 두개골 아치, 이마, 접합궁을 포함한 안면 골격의 상부 및 중간 영역을 노출합니다.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미용적으로 허용되는 숨겨진 흉터로 이러한 부위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subperiosteal 또는 subgaleal planes는 일반적으로 coronal flap 절리에 사용됩니다. 여기에서는 시체에서 상부 또는 중간 안면 골격을 노출하는 관상 접근 방식을 시연합니다.

악안면 손상; 재건 수술; 파괴 개방 감소.

상부 또는 중간 안면 골격에 대한 악안면 골절의 존재는 둔기 및 관통 외상 모두에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부상은 심각한 안면 기형을 일으켜 미적 손상과 뇌척수액 누출과 같은 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골절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접근 범위, 얼굴의 중요한 구조에 대한 이환율 위험, 수술 흉터의 외관이 케이스의 전반적인 성공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절한 수술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3

관상동맥 또는 양측 측두엽 접근법은 상부 및 중간 안면 골격을 적절하게 노출할 수 있는 훌륭한 수술 기법입니다. 전두개골, 이마, 접합궁을 포함한 안면 골격의 상부 및 중간 부위에 적절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4 이 접근법은 또한 헤어라인 내에 절개를 사용하여 수술 흉터를 숨길 수 있어 수용 가능한 미적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3,5,6

이 시연에서 사용된 시체는 안면 외상이 없었다. 이 기술이 필요한 일반적인 사람을 나타내는 환자 시나리오의 예는 다음 HPI, 검사 및 토론에 사용됩니다.

기여하지 않은 과거 병력이 있는 52세 남성이 복잡한 안면 외상과 사지 부상을 입은 ED에 외상 경보로 제시됩니다. 환자와 의료진의 세부 정보에 따르면, 그는 넘어졌을 때 약 20피트 높이의 사다리에서 나뭇가지를 다듬고 있었습니다. 그는 의식 상실을 부인했다. 충격을 받은 그는 911에 전화를 걸었고 당시 오른쪽 눈의 시력을 잠시 잃었다가 몇 분 후 다시 돌아왔다고 말했습니다. 현장에서 그의 글래스코 혼수 점수는 15를 유지했고, 혈역학적으로 안정적이었다. 그는 자궁경부 목걸이를 착용하고 병원으로 이송되어 완전한 외상 조사와 관리를 받았습니다. 그의 남은 외상 부담에는 좌측(L) 근위 상완골 골절, L 4-6번째 갈비뼈 골절, 그리고 흉곽 골절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폐렴이 포함됩니다. 심문에서 그는 통증, 경미한 흐릿한 시야, 비강 호흡 곤란, 부정교합을 지지합니다. 그는 복시, 삼중성, 비강 호흡 곤란 또는 안면 애니메이션의 어려움을 부인합니다.

신체검사 결과 전두골 중턱의 함몰 소견이 나타났다. 오른쪽 안와 주위 타박상과 부종이 있었고 말라 돌출부가 평평해졌다. 비전두부 접합부에서 얼굴 너비가 증가했습니다. 편차가 있는 상당한 연부/경조직 코 기형과 분쇄된 뼈 조각에 대한 깊은 열상이 관찰되었습니다. 또한, NF 접합부에서 우측(R) 측면 코와 뺨까지 뻗어 있는 깊은 중안면 열상이 관찰되었으며, 활동성 출혈의 증거는 없었습니다. R의 중안면은 촉지할 정도로 불안정했고, 검진에서는 교합이 정상으로 보였으나 환자마다 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감각은 뇌신경(CN) V1/2/3 양측 분포에서 온전했습니다. R에서 협측/접합 CN VII 기능이 감소했습니다. 안구 검사는 R 안와 주위 부종, 부종 및 반상출혈로 유명했습니다. 중심 및 말초 필드의 총 시력은 온전했으며, R 동공이 ~6mm 고정된 이등증, 좌(L) 동공 3mm 반응. 안구 외 운동은 온전했습니다(EOMI). L 또는 R에 안구 또는 안구 외향이 없습니다.

이 경우 이미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얼굴의 비조영제 CT 스캔은 이러한 유형의 환자에 대한 일반적인 정밀 검사의 일부입니다. 관상동맥 접근이 필요한 CT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골절에는 전두동 골절, 비안와 사골 구획, 상안와, 접합궁 및 턱관절(TMJ)의 골절이 포함됩니다. 

폐쇄 축소는 이러한 안면 골절의 관리를 위한 옵션이 아니기 때문에 이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대안이 없습니다.

안면 골격의 형태와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 골절의 개방 축소 및 내부 고정을 시행합니다.

이 기술에 대한 상대적인 금기 사항은 대머리 또는 눈에 띄는 흉터가 수술 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남성형 탈모의 강한 가족력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절개 부위는 이러한 합병증을 피하기 위해 후방으로 더 멀리 배치할 수도 있습니다. 5,7

제시된 증례는 안면 골절, 두개안면 재건 및 종양 절제의 치료를 위해 상부 및 중간 안면 골격에 대한 외과적 접근으로서의 관상동맥 접근법을 보여줍니다. 6 이 기술은 외과 의사가 여러 안면 골절을 직접 시각화하는 동시에 헤어라인 내에 숨겨진 미용적 흉터를 허용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또한 올바르게 수행될 경우 해부와 관련된 최소한의 이환율이 있습니다. 6

이 기술은 1907년 두 명의 신경외과 의사인 Hartley와 Kenyon에 의해 전방 두개골에 접근하는 접근 방식으로 처음 설명되었습니다. 나중에, 악안면 외과 의사인 Tessier는 안면 골격의 상부 및 측면 영역을 포함하도록 초기 접근을 확장하여 현재의 해부를 외과 커뮤니티에 도입했습니다. 3

수년에 걸쳐 이 기술의 발전에는 초기 절개와 해부 범위의 변화가 포함되었습니다. 전통적으로, 고전적인 관상 절개는 귓바퀴 나선의 수준 또는 귓바퀴 전 확장에 위치한 열등한 범위와 함께 활과 같은 디자인이었습니다. 5,8 절개 디자인의 변형에는 봉합 중에 보다 정확한 재근사치를 가능하게 하는 기하학적 패턴(예: 지그재그 또는 톱니)과 치유 후 더 미용적인 흉터가 포함됩니다. 5 또 다른 변형은 절개 부위의 하부 부위를 귓바퀴 후 확장을 사용하여 귓바퀴 후 주름 내의 흉터를 더 잘 위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8

코로나 접근법에 대한 연구는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Abubaker et al.은 두개악안면 외상 환자 28명의 치료에서 이 기술이 골절 부위의 최적 노출을 제공하여 해부학적 축소 및 고정과 절개 부위의 미용적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2 Marschall et al.은 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 접근법이 두개골, 비흉부 영역, 안와 주위, 접합 상악 및 전두엽 영역을 완전히 시각화할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4 이 치료법은 이환율이 낮지만, 이 수술과 관련된 몇 가지 수술 후 합병증이 있습니다. 보고된 주요 합병증으로는 삼차 및 안면 신경 결손, 흉터 탈모증 및 혈종이 있습니다. 6,9

관상 피판을 올릴 때 두개골 주위 피판은 재건 목적으로 별도의 척추 경이 있는 혈관 피판으로 올릴 수 있습니다. 두개주위 피판에는 여러 유형이 있으며, 각각 고유한 혈관 척추경과 용도가 있습니다. 전두개골 및 전두엽-두개골 피판은 전두개골 기저부와 두개안면 재건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주요 혈액 공급은 상부 및 안와상혈관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두개외 두개주피판과 측두정근막판은 다른 옵션으로, 전자는 내시경 재건에 유용한 피판이고 후자는 다른 피판이 생존할 수 없을 때 자주 사용됩니다. 10,11

초기 HPI 및 검사에서 제시된 가상의 환자는 총 수술 시간 5시간, 출혈 100mL로 수술을 받았습니다. 그의 총 입원 기간은 7일이었고 그 외에는 별다른 일이 없었습니다. 추적 관찰 결과, 환자는 경미한 R V2 감각 저하를 승인했으며, 그 외에는 CN V 및 VII가 손상되지 않았습니다. 골절의 해부학적 감소는 검사와 수술 후 영상 모두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시술에 특별한 장비, 도구 또는 임플란트가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공개할 것이 없습니다.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은 이 영상에 언급된 시체가 의료 전문가 교육에 사용되는 것에 동의했으며 정보가 온라인에 게시될 것임을 알고 있습니다.

Citations

  1. Echo A, Troy JS, Hollier LH Jr. 전두동 골절. 세민 플라스트 수술 2010; 24(4):375-382. 도:10.1055/S-0030-1269766.
  2. Abubaker Omar A, George S, Patterson Gary T. 심각한 두개악안면 손상의 재건을 위한 관상 외과 절개 사용. J 구강 악골 수술 1990; 48:579–86. 도:10.1016/S0278-2391(10)80470-7.
  3. Rajmohan S, Tauro D, Bagulkar B, Vyas A. 관상동맥/반코로나 접근법 - 두개악안면 영역으로의 관문. J Clin 진단 해상도 2015년 8월; 9(8):P C01-5입니다. 도:10.7860/JCDR/2015/14797.6296.
  4. Marschall 석사, 코헨 M, 가르시아 J, Schafer ME. 심각한 안면 부상의 재건을 위한 두개안면 접근법. J 구강 악골 수술 1988; 46:305–10. 도:10.1016/0278-2391(88)90014-6.
  5. Cornelius CP, Gellrich N, Hillerup S, Kusumoto K, Schubert W. (2009). 코로나 접근법. AO Foundation 수술 참조. 이용 가능 장소: https://surgeryreference.aofoundation.org/cmf/trauma/midface/approach/coronal-approach.
  6. Kumar VS, Rao NK, Mohan KR 등 안면 외상을 치료하기 위한 수술 기법의 다양한 수정 사항을 적용하여 관상 접근법과 관련된 합병증 최소화: 전향적 연구. Natl J Maxillofac 외과 2016; 7(1):21-28. 도:10.4103/0975-5950.196143.
  7. 아이오와 대학교. (2018 년 9 월 13 일). 상부 안면 골격에 대한 관상동맥 접근. 상부 안면 골격에 대한 관상동맥 접근법 | 아이오와 두경부 프로토콜. 이용 가능 장소: https://medicine.uiowa.edu/iowaprotocols/coronal-approaches-upper-facial-skeleton.
  8. 엘리스 E. (2019). 안면 골격에 대한 외과적 접근. 월터스 클루어.
  9. 바게리 S, 바게리 S. (2014). 구강악안면 수술의 임상 검토: 사례 기반 접근법. 엘스비어. 
  10. Safavi-Abbasi S, Komune N, Archer JB 등 두개골 기저 결손의 다층 수리를 위한 척추형 혈관 조직 플랩의 외과적 해부학 및 유용성. J 신경외과 2016;125(2):419-430. 도:10.3171/2015.5.JNS15529.
  11. Gishen K, Yoo J, Plotsker E, Thaller SR. 두피 재건을 위한 두개골 피판 재방문. J Craniofac 외과 2021년 5월 1일; 32(Suppl 3):1275-1280. doi:10.1097/SCS.0000000000007033.

Cite this article

홍 플로리다, 로완 씨, Tannyhill RJ III. 관상 접근법 (시체). J 메드 인사이트. 2024; 2024(260.11). doi:10.24296/jomi/260.11입니다.

Share this Article

Authors

Filmed At:

Harvard Medical School

Article Information

Publication Date
Article ID260.11
Production ID0260.11
Volume2024
Issue260.11
DOI
https://doi.org/10.24296/jomi/26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