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cing
Sign Up

Ukraine Emergency Access and Support: Click Here to See How You Can Help.

Video preload image for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 상악골, 사골 및 접형체(사체)
jkl keys enabled
Keyboard Shortcuts:
J - Slow down playback
K - Pause
L - Accelerate playback
  • 타이틀
  • 1. 준비 및 포지셔닝
  • 2. 중간 비갑개 중재
  • 3. 절제술
  • 4. 상악 개흉술
  • 5. 사골 수포 제거
  • 6. 해부학적 랜드마크 식별
  • 7. 기저 라멜라 입력
  • 8. 후방 사골 절제술
  • 9. 접형절개술
  • 10. 우수한 사골 절제술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 상악골, 사골 및 접형체(사체)

23551 views

C. Scott Brown, MD; David W. Jang, MD
Duk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Main Text

1980년대에 개척된 기능성 내시경 부비동 수술(FESS)은 만성 비부비동염 및 비용종증과 같은 다양한 비강 질환의 외과적 관리를 위한 표준 접근법이 되었습니다. 1 이 최소 침습 기법은 내시경을 사용하여 주위 부비동을 시각화하고 접근하여 병든 조직을 정확하고 표적화하여 제거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FESS는 기존의 수술 접근법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FESS 후 비용종증의 재발률은 기존 수술 후 재발률인 30%에 비해 현저히 낮습니다(6.67%). 2 또한, FESS를 사용하면 기존의 개복 수술과 비교할 때 전두엽 비부비동염 수술 기간이 15% 눈에 띄게 감소했습니다. 3

특히 만성 비부비동염은 일반인의 5%에서 12%에 영향을 미치는 만연하고 쇠약해지는 비강 질환입니다. 4 이 만성 염증성 질환은 삶의 질을 크게 손상시켜 코막힘, 안면 통증, 두통 및 후각 기능 장애와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5 비강 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항생제 사용을 포함한 기존의 의학적 관리가 질병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지속적인 완화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 FESS는 병들거나 폐쇄적인 조직의 표적 제거를 통해 정상적인 부비동 배액 및 환기를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중추적인 중재로 부상합니다. 6

FESS와 관련된 잠재적인 합병증은 뇌의 직접적인 손상, 복시, 비루관 손상/과도한 찢어짐, 안와 혈종, 좌골 형성, 경동맥 손상, 시신경 손상, 안와 손상 및 뇌척수액 누출입니다.

기능성 내시경 부비동 수술에 대한 포괄적인 후향적 연구에서 전체 합병증 발생률은 0.50%로 나타났습니다. 수혈, 독성 쇼크 증후군, 수술이 필요한 출혈, 뇌척수액 누출, 안와 손상의 비율은 각각 0.18%, 0.02%, 0.10%, 0.09%, 0.09%였다. 7

여기에 제시된 FESS의 사체 비디오는 상악, 사골 및 접형동 박리에 대한 상세하고 포괄적인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해부학적 고려 사항에 대한 강조와 결합된 단계별 접근 방식으로 인해 이 비디오는 비강 질환 관리와 관련된 의료 전문가에게 필수적인 리소스입니다.

절차는 적절한 사체 머리 배치 및 기기 설정으로 시작됩니다. 시체의 머리는 실제 수술 과정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머리는 외과 의사 쪽으로 약간 향합니다. 외과의의 팔이 몸통에 편안하게 얹힐 수 있도록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하여 피로를 최소화합니다.

0도 시야각 내시경을 사용한 초기 시각화를 통해 하비갑개, 중격 및 중비갑개를 포함한 주요 비강 구조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중비갑개는 뚜렷하지만, 심한 비용종증에서는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부착 부위에서 더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수술의 초기 단계에서는 이중 종단 골막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중간 비갑개를 내측으로 부드럽게 움직입니다. 이 기동은 두개골 기저 골절 및 그에 따른 뇌척수액(CSF) 누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주의해서 실행됩니다. 내측화가 진행됨에 따라, 사골 수포(ethmoid bulla) 및 사골 수포(ethmoid bulla) 뒤에 위치한 기저층(basal lamella)과 함께 uncinate 과정이 분명해집니다.

다음 절차 단계는 uncinectomy로 알려진 uncinate process의 제거와 관련이 있습니다. 직각 프로브는 절개의 후방 측면에 접근하여 전방 골절을 용이하게 하는 데 사용됩니다. 동원 후, uncinate는 backbiting 겸자를 사용하여 열등하게 분할되어 정확한 제거가 가능합니다. 그 후, 마이크로디브라이더(microdebrider)를 사용하여 uncinate 공정의 잔류물을 제거합니다. uncinectomy가 완료되면 후속 단계에는 상악동 (maxillary sinus)의 자연 골격을 찾는 것이 포함됩니다. 자연 골은 일반적으로 하부 중간 비갑개 사이의 접합부에 위치하며, uncinate process 뒤에 위치합니다. 성공적인 진입 후, 상악동을 부드럽게 확장하여 강 내 가시성을 향상시킵니다. microdebrider를 사용하면 상악동이 더욱 넓어지며, 특히 두꺼운 뼈가 접근을 방해하는 경우에 더욱 넓어집니다. 이러한 경우, 특히 하악동의 추가 개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직선 트루 커팅 겸자를 도입할 수 있습니다.

상악 antrostomy가 완료되면 프로브를 사용하여 자연 개구부를 확인합니다. 부비동의 천장을 느끼고 lamina papyracea로의 전환을 식별하는 것과 같은 감각 피드백은 골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후속 단계에는 사골 수포(ethmoid bulla)의 제거가 포함됩니다. 처음에는 J 자형 큐렛을 사용하여 개인마다 두드러짐이 다를 수 있는 retrobullar recess의 존재를 촉진합니다. 이 홈에 접근하기 위해 노력이 이루어지지만 때때로 사골 수포에 직접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수포의 전방 골절이 실행됩니다. 수포의 제거는 절단 겸자를 사용하여 촉진되어 철저한 절제를 보장합니다. 이 과정은 사골 수포가 수술 분야에서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계속됩니다.

사골 수포를 절제한 후, lamina papyracea는 측면으로 노출됩니다. 그 후, 기저 라멜라는 해당 수준에서 식별됩니다. 기저 라멜라(basal lamella)로 들어가면 후방 사골강(posterior ethmoid cavity)에 접근할 수 있으며, 여기서 칸막이는 마이크로데브라이더(microdebrider)와 겸자를 사용하여 꼼꼼하게 제거되어 포괄적인 청소를 합니다. 접형절개술을 시작하기 위해 상비갑개의 아래쪽 부분을 절제하여 추가 접근을 위한 공간을 만듭니다. 비갑개 절제술 후에는 접형동 골의 위치를 찾는 데 주의를 기울입니다. 그 후, 부비동 내부를 시각화하기 위해 측면으로 확장되고 넓어집니다. 후방에서 전방으로의 사골 절제술이 이어지며 두개골 기저부를 골격화하면서 접형동 내의 칸막이를 제거합니다. 마지막으로, 각진 내시경을 통해 전두엽 오목부를 절개할 수 있어 FESS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Onodi 공기 셀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세포는 일반적으로 증상이 없지만 시신경과 내부 경동맥에 위험할 정도로 가까이 위치하며 뼈 분리가 최소화됩니다. 내시경 진입 시 이러한 세포의 후벽을 접형동으로 잘못 식별하면 이러한 중요한 구조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FESS 중에 이러한 세포 주위를 정확하게 식별하고 주의 깊게 탐색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8

전반적으로 FESS에 대한 이 포괄적인 사체 비디오 가이드는 수술 관행을 표준화하고 외과의의 숙련도를 향상시키며 궁극적으로 비강 장애가 있는 환자의 치료 품질을 최적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필수 교육 리소스입니다.

아래에서 시리즈의 나머지 부분을 확인하세요.

  1. 기능성 내시경 부비동 수술: 상악골, 사골, 접형체(사체)
  2. 사골 동맥 해부학(시체)
  3. 전두동 절제술(시체)
  4. DCR 및 Nasolacrimal System(사체)
  5. 이하선 해부(시체)
  6. 갑상선 절제술(시체)

Citations

  1. Bunzen DL, Campos A, Leão FS, Morais A, Sperandio F, Neto SC. 용종증이 있거나 없는 만성 비부비동염 증상에 대한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의 효능. Braz J Otorhinolaryngol. 2006; 72(2). 도:10.1016/S1808-8694(15)30062-8.
  2. 후마윤 MP, 알람 MM, 아메드 S, 살람 S, Tarafder KH, Biswas AK. 비용종증에 대한 내시경 부비동 수술과 기존 수술의 결과에 대한 비교 연구. Mymensingh Med J. 2013년; 제22(1)항 참조.
  3. Alekseenko S, Karpischenko S. 소아의 외부 및 내시경 전두동 수술 결과에 대한 비교 분석. Acta Otolaryngol. 2020; 140(8). 도:10.1080/00016489.2020.1752932.
  4. Fokkens WJ, Lund VJ, Mullol J, et al. EPOS 2012 : 비부비동염 및 비용종에 대한 유럽 입장 논문 2012. 이비인후과 의사를 위한 요약. 비과학. 2012; 50(1). 도:10.4193/rhino50e2.
  5. Hoehle LP, Philips KM, Bergmark RW, Caradonna DS, Gray ST, Sedaghat AR. 만성 비부비동염의 증상은 일반적인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Rhinology 저널. 2016; 54(4). 도:10.4193/rhin16.211.
  6. Rosenfeld RM, Piccirillo JF, Chandrasekhar SS, et al. 임상 실습 지침(업데이트): 성인 부비동염. 이비인후과 두경부 수술 2015;152. 도:10.1177/0194599815572097.
  7. Suzuki S, Yasunaga H, Matsui H, Fushimi K, Kondo K, Yamasoba T. 기능성 내시경 부비동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 50,734명의 일본 환자 분석. 후두경. 2015; 125(8):1785-1791. doi:10.1002/lary.25334입니다.
  8. Gaillard F, 해킹 C, Ranchod A 등 구형ethmoidal 공기 전지. 참고 문헌, Radiopaedia.org. 2024년 5월 19일에 액세스함. 도:10.53347/rID-1776.

Cite this article

브라운 CS, 장 DW.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 상악, 사골 및 접형체(시체). J 메드 인사이트. 2024; 2024(161.1). 도:10.24296/jomi/161.1.

Share this Article

Authors

Filmed At:

Duk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rticle Information

Publication Date
Article ID161.1
Production ID0161.1
Volume2024
Issue161.1
DOI
https://doi.org/10.24296/jomi/161.1